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 독일은 국내와 점령지에서 유대인 혈통을 가진 이들을 따로 분류해 격리했으며, 전쟁 중후반기에는 강제수용소에서 최대 1000만 명 이상의 민간인을 학살했는데, 이는 사상 최악의 전쟁 범죄 중 하나로 손꼽힌다. 하지만 의외로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 있다. 나치의 만행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비슷한 기간 미국 역시 민간인들을 태생적인 민족과 혈통의 문제로 구금했던 사례가 있었다는 것이다. 1941년 12월 7일, 일본이 하와이의 진주만에 정박한 태평양 함대에 기습을 가하면서 '태평양 전쟁'의 서막이 올랐다. 이날 미국의 피해는 처절했다. 총 12척 이상의 군함이 반파 당했고, 항공기 188대가 소실되었으며, 수병 2,403명이 사망했다. 여기에 민간인 68명까지 사망하면서 2차 세계대..
극한의 상황에서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발생할 때가 종종 있다. 특히 극한의 극치인 전쟁 중에는 때때로 비극이 희극으로 바뀌고, 생명이 오가는 와중에 웃지 못할 해프닝이 연출되기도 하는데,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미 군함이 폭뢰나 기뢰, 함포도 아닌 '감자'를 통해 적 잠수함을 격침시킨 사례가 있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미 해군의 '오배넌' 구축함은 태평양 전선에서 일본 해군을 제압하는 데 혁혁한 전공을 세웠다. ※ 오배넌 구축함은 과달카날 해전을 비롯해 모두 17차례의 대규모 작전에 참여했다. 하지만 오배넌함이 유명해진 계기는 따로 있었다. 1943년에 벌어진 기묘하면서도 황당한 전투 때문이다. 1943년 4월 5일, 오배넌함이 남태평양 해역을 항해하다 우연히 일본 잠수함(RO-35)과 마주쳤다. 그러나..
건국과 동시에 주변 아랍국들과 치열한 전쟁을 치러야 했던 이스라엘은 항상 무기 부족에 시달렸다. 이 때문에 이스라엘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총기나 화포, 전차 등을 긁어모았으나 넉넉지 않은 주머니 사정으로 인해 손에 넣을 수 있는 무기라고는 대부분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사용되던 구식 무기들뿐이었다. 이런 무기들로는 최신형 무기로 무장한 아랍제국 군과의 전투에서 이길 수 없었다. 그렇게 이스라엘은 구식 무기를 대대적으로 개조하는 방안을 다각도로 연구하기 시작했다. 이스라엘 건국 초기 지상군의 주력 전차였던 'M4 셔먼'은 대부분 1940년대 초반에 생산되어 제2차 세계대전을 겪은 고철이었지만, 이스라엘은 이들을 대대적으로 개조해 1980년대까지 사용했다. ※ 영화 fury에 등장한 M4 셔면 전차 엔..
인류의 역사는 서로를 압도하기 위해 경쟁적인 환경 속에서 계속 발전해왔다. 특히, 군은 국가의 생존 문제를 책임지는 집단이다 보니 경쟁국보다 더 강력하고 획기적인 무기를 획득하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기울여왔고, 지금도 변한 것은 없다. 그래서 인류의 역사는 전쟁과 매우 밀접하다. 재미있는 것은 그 와중에 태어난 수많은 발명이 군과는 상관없는 민간 분야에서 실용성을 찾아 우리 생활에 정착하게 된 사례가 꽤 많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것이 전자레인지다. 2차 세계대전이 막바지이던 1945년, 레이더 기술을 개발하던 미국이 우연히 '마이크로웨이브'파를 발견하게 된다. 이후 특정 주파수대에서 분자들을 움직이면 음식을 조리할 정도로 적당한 열이 발생한다고 판단한 미군이 이를 계속 개발하게 된 것이 전자레인지의 탄생..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